본문 바로가기
생각하기

생각나누기 - 키오스크 도입과 디지털 소외 계층

by ▩♨○ 2021. 8. 24.
반응형

키오스크가 이제는 어디 가도 보이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다이소에서 혼자 쉽게 계산할 수 있고, 홈플러스 등에서도 물건을 적게 사고도 기다리지 않고  키오스크 계산대에서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민센터의 무인발권기로 쉽게 서류를 떼어 볼 수 있는 시대입니다. 

 

* 생각해보기

1.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키오스크

2. 키오스크 사용이 불편한 디지털 소외계층

3. 디지털 소외계층의 격차 해소 방안

▶ 여기저기 도처에 있는 키오스크

앞서 말한것처럼 다이소를 가더라도 홈플러스, 이마트를 가더라도 키오스크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청에 가서 서류를 떼어보고 싶더라도 키오스크 기계를 이용해서 쉽게 받아볼 수 있는 현실입니다. 맥도널드에서는 적게는 2개 많은 곳은 8개의 키오스크 기계가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름철이면 많이 먹게 되는 아이스크림을 파는 무인 아이스크림 가게에서도 당연하게 키오스크가 있는 상황입니다. 

▶ 키오스크 사용이 불편한 디지털 소외계층

키오스크가 편리하고 시간의 단축이라는 효율적인 면이 있지만, 사람이 없는 무인기계는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켰습니다.  바로 디지털 소외계층이 생긴것입니다. 노인층이나 장애인 등 디지털 소외계층이 생겼는데 이들은 키오스크 기계가 또 하나의 사회적 방해물이 되어 버렸고 누군가의 도움이 없이는 이제 물건을 사기도 밥을 먹기도 쉽지 않은 사회가 되어 가고 있는 상황인 것입니다. 

◆ 디지털 소외계층의 격차 해소 방안

우선 첫 번째로 이러한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노인층의 경우 이런 키오스크 사용이 익숙하지 않고 글자가 너무 작아 사용이 더 불편한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원봉사자를 통해서나 체험 기회를 드려 키오스크 사용에 익숙해지도록 교육해야 합니다. 

두 번째로 상주하는 직원을 두거나 호출버튼을 만들고 바로 응대 가능하도록 인력을 두는 것입니다. 장소에 따라서는 직원 상주가 힘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호출 버튼을 만들고 호출이 발생하면 바로 직원이 와서 이를 도와드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장애인 분들의 경우 버튼 자체를 누르기 힘들 수 있고, 진정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보완하는 최소의 직원이 필요합니다. 

세 번째로 키오스크 기계 자체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키오스크는 회사마다 기능이 다양하고 디자인 또한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이를 획일화 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어느 정도의 기능면에서 통합이 필요하며 필수적으로 글씨크기 확대의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글씨 크기가 작은 키오스크의 불편함은 스마트폰 시대의 요즘 사람들에게 더 확 다가온다고 생각합니다. 작은 글씨가 조금만 더 확대가 되더라도 노인층 뿐만 아니라 젊은 세대에게도 더 사용이 편하다고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